장애예술인 인터뷰, 브레이크 댄서 김예리 > 자료실

  • 로그인
  • 검색하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보마당

자료실
HOME자료실

자료실

장애예술인 인터뷰, 브레이크 댄서 김예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2021.09.15 조회5,814회 댓글0건

본문

‘항저우아시안게임’, ‘파리올림픽’ 준비에 최선 ‘후배들 이끌어 줄 영향력 가진 사람 되고 싶어“ 브레이크 댄스가 2024년 프랑스 파리하계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채택되면서 브레이킹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런데 2018년 부에노스아이레스 청소년(유스) 올림픽 브레이킹 부문에서 동메달, 세계 최대 규모의 브레이킹 국제대회 ‘레드불 비시 원’ 2019년 한국대회에서 우승, 2020년 ‘레드불 E-배 틀’ 월드파이널 4강에 진출하여 유망주로 떠오르고 있는 김예리를 우리는 주목해야 한다. 바로 그녀가 청각장애 속에서 이 모든 것을 이루어 냈기 때문이다. 비보이는 남자 비보잉이고, 비걸 (B-girl) 은 여자 비보잉인데 남녀 구분 없이 브레이크 댄스라며 춤을 브레이킹이라고 한다. IOC (국제올림픽위원회) 는 전 세계 브레이킹 인구를 약 100만 명으로 추산하고 있는데 한국 비보이는 약 1만 명, 비걸은 약 30명 정도이다. 그래서 비걸 김예리는 어딜 가나 홍일점이다. 춤과 함께 중학교 1학년 때 따돌림을 당했다. 짓궂은 장난이 괴롭힘으로 넘어갈 무렵 수련회에 갔다. 장기자랑 무대에서 남자 아이돌 곡에 맞춰 혼자 춤을 췄다. 1등을 해서 상품을 타니까 아이들 태도가 바뀌었다. 2학년이 돼서도 한 친구 때문에 급식을 못 먹을 정도로 힘든 때가 있었지만 춤으로 스트레스를 풀었다. 엄마는 건강하게 자라기를 바랬다. 그래서 수영, 축구, 배드민턴 등 안 해 본 운동이 없다. 춤도 운동으로 시작했다. 방송댄스를 먼저 배웠는데, 섹시하고 귀여운 여자 아이돌 안무가 안 맞았다. 그래서 남자 아이돌 춤을 주로 췄었다. 그러던 중 비보잉대회 영상을 봤다. 프리즈(물구나무서서 한쪽 팔로 멈추는 동작) 하나만 배우면 춤짱이 될 수 있겠다 싶어 중학교 2학년 때 학원에 등록 하고 본격적으로 배우기 시작했다. 춤에 빠져 있으니까 중학교 3학년이 되면서는 엄마가 공부하라고 학원비를 주지 않았다. 연습할 공간이 없어서 학교를 마치면 집 근처 놀이터에서 2시간씩 연습을 했다. 그러다 동네에 소문이 났다.‘놀이터에 춤추는 여자애가 있는데, 잘하더라.’라는 칭찬이었다. 춤을 계속 추는데 성적은 오르니 부모님이 학원에 다니는 걸 다시 허락해 주었다. 그 덕분에 중학교를 마치고 예고에 진학했다. 춤을 더 잘 출 수 있는 환경을 찾아서 간 것이다. 브레이크 댄서 입문 고2 때 비보이 크루 오디션을 통해 연습생 네 명이 뽑혔는데 그중 한 명이 되었다. 크루에 들어가니 정확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고, 대회에 출전하며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 하지만 팀에 들어가고 2년은 스트레스를 엄청 받았다.‘좀 하다가 나가겠지.’하는 사람도 있었고, 신참에게 파워무브 기술을 강요하는 분위기였다. 그럴 때마다 버텨야 한다고 스스로 다짐했다. 대회를 앞두고 열심히 연습하고 있는데, 대놓고 ‘네가 결승을 갈까?’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럴수록 더욱 열심히 했다. 그래서인지 결승에 올랐다. 브레이킹은 춤 자체가 남자 신체에 유리하다. 그래도 고난도 기술을 연기했는데‘여성스러운 느낌을 살리면 좋겠다.’고 여성성을 요구한다. 비걸이 된 것은 파워풀하고 에너지 넘치는 춤을 추고 싶어서인데 힘을 빼라고 하면서‘여자들 춤은 파워풀하지 않아서 재미가 없다.’는 편견을 갖고 있다. 브레이킹 대회는 남녀 구분 없이 치러졌다. 그래서 비걸은 무조건 예선에서 탈락했다. 남성과 여성의 신체적 조건이 다른데 잘하는 비걸이 잘하는 비보이를 이기기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다행히 2018년부터 메이저 대회에서 비걸 부문을 따로 만들기 시작했다. 해외에서는 비걸을 포함해 브레이킹신 자체가 커지는 추세다. 일본이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면, 러시아는 최근에 폭발 적으로 성장했고 중국도 부지런히 따라오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여전히 언더 (하위) 문화에 머물고 있다. 한국이 세계 대회를 휩쓸고는 있지만, 경제 활동이 되지 않으니 비보이들이 먹고살기 위해 이 판을 떠난다. 그녀도 자신이 좋아하는 브레이킹을 하며 안정된 경제생활을 하기를 바란다. 도전을 통해 2018년 KBS 댄스배틀 오디션 프로그램 <댄싱하이>에 출연했다. 출연 이후 그녀를 보고 비걸을 시작하게 됐다고 하는 친구들이 있었다. 미디어에 노출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세계댄스스포츠연맹 (WDSF) 사이트에서 2018년 부에노스아이레스 유스올림픽 공고를 보고 지원했다. 국가당 남녀 다섯 명씩 엔트리가 주어졌는데, 여자는 4명밖에 지원을 안 해서 전원 모두 출전하게 되었다. 김예리는 아시아 예선에서 2등을 하여 본선에 갈 수 있었는데 월드파이널에서 브레이킹 비걸 부문에서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덕분에 그녀 이름 앞에 올림픽 메달을 딴 최초의 한국 댄서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2019년 ‘레드불 비시 원’ 한국 예선에서 우승했을 때가 기억에 남는다. 그 대회를 계기로 팀에서 인정을 받았기 때문이다. 나이 제한을 두지 않은 대회에서 이긴 것은 처음이었다. 벽을 하나 넘은 기분이었다. 선배들을 이길 수 없다는 생각이 컸는데, 우승하고 많이 울었다. 청각장애로 인한 어려운 점은 요즘처럼 마스크를 쓰고 있으면 잘 못 알아듣는다. 상대방 입 모양을 함께 보아야 정확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김예리는 청각장애 4급이다. 장애인등록은 2019년에 했지만 10년 전부터 보청기를 사용한다. 처음에는 한쪽 귀에 착용하다가 얼마 전부터 양쪽 귀에 보청기를 끼고 있지만 집중해서 듣지 않으면 잘 못 듣는다. 일상생활에는 지장이 없는데, 대회에 출전했을 때는 어려움이 많다. 진행자의 마이크 소리와 관중 환호성이 음악과 겹쳐지면 징징징 하는 소음으로 정신을 어지럽힌다. 보청기를 바꾸고 한 달 만에 대회에 나갔다가 노래가 안 들려서 크게 당황한 적이 있다. 대회에서는 어떤 노래가 나올지 모르니 항상 긴장한다. 음악이 안 들렸을 때의 불안감이 공포로 다가오니까 음악에 맞춰서 춤을 출 수 없을 수도 있겠다는 불안감이 몇 초 사이에 스쳐지나가지만 막상 시작을 하면 춤에 취해 자연스럽게 몸동작이 나온다. 그보다 더 힘든 것은 카운트하는 소리가 안 들린다는 것이다. 그래서 김예리는 집중해서 카운터를 보면서 속으로 숫자를 세는데 그것이 리듬을 타는 것으로 보인다. 그녀는 장애의 어려 움을 연습을 통해 더욱 멋있게 표현해 내고 있다. 앞으로 목표 K팝 영향으로 안무가들이 많이 필요한데 그녀는 안무가이기도 하다. 브레이킹과 안무 두 장르 사이에서 균형을 잡기가 힘들다. 브레이킹은 연습이 많이 필요한데 안무가 활동을 하다 보면 연습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타 장르를 한다고 비난하기도 하지만 팀 선배들이 응원해 주고 있어서 힘을 내고 있다. 단기적인 목표는 2022년 항저우아시안게임이 있고, 2024년에는 파리올림픽이 있는데 두 가지 대회를 위해 최선을 다해 준비할 계획이다. 대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공연 기회가 생기면 그것도 열심히 임할 생각이다. 현장 경험이 많아야 대회에서 최상의 기량을 보일 수 있기 때문 이다. 장기적인 소망은 혼자 잘하는 걸로 끝내는 게 아니라 자기를 보고 새로운 시도를 하는 친구 들이 생기거나 브레이킹 후배들을 키워 줄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진 사람이 되고 싶다. 김예리는 갬블러크루 소속 비걸이자 YGX/NWX 소속 안무가로 YELL이란 예명으로 활동하며 해외에도 많은 팬들이 있는 국제적인 인물이다. 그녀는 춤 없는 삶은 상상이 안 된다고 할정도로 브레이킹에 빠져 있다. 그녀의 좌우명 Limitless (한계는 없다) 에서 알 수 있듯이 그리고 그녀의 나이가 올해 22세라는 것을 생각해 볼 때 김예리의 성장은 계속될 것이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한국장애예술인협회 (klah1990@hanmail.net) 출처: 에이블뉴스(2021-09-13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36073 경상북도 영주시 광복로47대표번호 : 054-634-3251~2팩스: 054-634-3253

COPYRIGHT 2007 ⓒ 영주시중증장애인자립지원센터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