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인터넷망과 인공지능의 탑재 등 현재의 가전제품은 나날이 고기능, 첨단기술을 탑재해 그 이용에 편리를 더하고 있으나 이에 따른 장애인 노령층 등 이용 약자를 위한 가전접근성 개선은 미미하기만 한 것이 현실이다.
장애인을 위한 가전제품은 국내 대형 가전 제품사들이 가전 접근성 관점에서 연구, 개발과정을 거쳐 출시하고 있으나 장애인 소비자의 욕구에 비해 부족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이에 스마트 가전을 포함한 장애인의 편의를 고려한 제품 및 관련 기술에 대해 정보를 나누고자 한다.
가장 대표적인 유형으로 보이스 컨트롤 기능을 탑재한 가전제품이다. 음성 인식 기술은 장애인들에게 많은 이점을 제공하며, 특히 시각장애인이나 이동성이 제한된 장애인들은 음성으로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인공지능(AI) 기반의 음성 인식 가상 비서서비스가 대표적으로 아마존의 알렉사, 구글 홈, 애플의 시리 등은 음성으로 통제되는 스마트 홈 가전제품들이다.
이러한 가상 비서 서비스는 TV, 오디오, 등의 스마트 가전과 연동되어 사용자의 명령에 응답하여, 음악 재생, 알람 설정, 일정 관리, 날씨 정보, 추천, 뉴스 업데이트, 요리 레시피, 교통 상황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질문에 답변하고, 쇼핑 목록을 만들어주는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가전제품은 인터넷에 연결되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거나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의 기기로 제어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스마트 가전제품은 인공지능(AI) 기능을 통해 학습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자동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전제품 및 서비스제공 형태에 따른 특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스마트 TV는 인터넷 연결을 통해 온라인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에 접속하거나, 웹 브라우징, 게임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TV 형태이다.
스마트 냉장고는 식품의 유통기한을 관리하며, 필요한 식품 목록을 생성하는 등의 기능을 갖췄다. 스마트 세탁기는 사용자가 원격으로 세탁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세탁 상태를 확인하거나,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스마트 오븐‧전자레인지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을 활용하여 원격으로 조리 시간과 온도를 설정하고, 조리 과정을 모니터링하며, 식품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조리 방법을 추천하는 기능을 갖췄다.
이와 같은 스마트 가전제품은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일상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가전제품은 사용자의 활동 패턴을 학습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 수효가 많지는 않으나, 국내 대형가전사가 스티커 부착의 형태로 보급을 시작한 점자 지원 가전제품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제품의 형태, 즉 점자가 인쇄된 버튼이나 패널을 제공하는 것으로 점자를 지원하는 전자레인지, 세탁기, 커피머신 등을 찾아볼 수 있다.
점자 제공 전자레인지는 대부분의 버튼에 점자를 제공하여, 그 동작에 편의를 제공함으로써 시각장애인 사용자가 음식을 데우거나 요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세탁기에 점자가 표시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세탁기를 작동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점자를 통해 각 버튼의 기능을 설명하고, 프로그램, 온도 설정, 세탁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점자 제공 커피머신은 버튼이나 다이얼에 점자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커피를 만들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현재로서는 시각장애인 소비자를 위한 점자를 제공하는 가전제품의 종류가 극소수로 다양하지 못한 실정으로, 점자를 장착한 제품의 경우 사용자는 스티커를 이용하여 기기의 버튼이나 스위치, 다이얼 등을 쉽게 구분하고 이해할 수 있다.
점자를 탑재한 가전제품은 사용자가 자신의 가전제품을 독립적으로 사용하고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하므로, 가전제품 제조사들이 가전사들은 스티커를 제공하거나, 기본적으로 점자를 탑재한 된 인터페이스를 가진 제품을 생산하는 것은 액세스 가능성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발걸음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일반적이지 못한 점자의 보급을 대체할 대체보완 수단으로 음성 출력 디스플레이와 음성 명령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제품을 들 수 있다. 기기의 상태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출력과 기기 고유의 작동소음을 극복하고 명령어를 좀 더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기기의 동작 상태를 고유의 동작음 또는 알림음의 장단과 고저 등의 형태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문제는 앞으로의 과제일 것이다.
향상된 디스플레이와 조작 장치가 있는 가전제품은 근육 장애인이나 미세한 동작이 어려운 유형의 장애인을 위한 것으로, 일반 제품에 비해 대형 버튼과 레버, 그리고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춘 제품이다.
많은 스마트 가전제품은 보조 기술과 호환되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화면 확대기, 화면 판독기, 음성 인식 기능 등을 사용하여 가전제품을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스마트폰과 가전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스마트폰 앱을 통한 것으로, 시각장애인의 경우 화면 판독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는데, 애플의 보이스오버(VoiceOver) 또는 Google's TalkBack을 사용하여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다.
청각장애인들을 위해 일부 가전제품은 보청기나 코헬라 임플란트와 직접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일부 스마트 TV는 보청기를 통해 오디오를 직접 스트리밍할 수 있다.
다소 생소할 수 있는 코헬라 임플란트는 중증도 이상 극심한 난청을 가진 사람들에게 사용되는 전자 의료 장치로, 소리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청신경을 직접 자극하는 형태다. 이러한 과정은 전통적인 보청기가 사용하는 공기를 통한 소리 전송 방식과는 다르게 동작한다.
일부 가전제품은 스위치 액세스 기능을 지원하는데, 사용자가 특별히 설계된 스위치를 사용하여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전형적인 방식의 전자제품의 제어에 어려움을 겪는 사용자에게 특수하게 제작된 스위치 시스템을 활용해 가전제품이나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이다.
스위치 액세스는 일반적으로 버튼, 레버, 감지 센서, 헤드 포인터 등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를 통해 가능하다. 이 스위치들은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누르거나, 머리로 움직이거나, 눈으로 깜빡이거나, 근육 움직임을 감지하는 등의 방식으로 작동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장비를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버튼 터치방식이 보편적이며, 스캔 선택 방법은 이동성이 크게 제한된 사용자들을 위해 스캔 선택 방식을 활용한다. 가전제품의 가능한 모든 선택지가 순차적으로 스캔 되며, 사용자는 원하는 선택지에 도달했을 때 스위치를 눌러서 선택하는 방식이다.
모스 코드방식은 사용자가 모스 코드와 같은 방식으로 가전제품의 사용을 위해 사용자는 짧게 또는 길게 스위치를 눌러서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스위치 액세스 기능은 일반적이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고도로 사용자화가 가능하며, 사용자의 특정 능력과 필요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음성 제어 기능은 스마트 가전에서 가장 보편적인 방식으로 많은 가전제품은 음성 제어 기능을 지원하며, 이는 사용자가 음성으로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스마트 스피커를 활용한 형태는 아마존의 에코(Amazon Echo), 구글의 홈(Google Home), 애플의 홈팟(HomePod) 등으로 음성을 통해 제어되며, 스마트 홈 장비와 연결되어 빛을 켜고 끄거나, 온도를 조절하거나, 도어락을 제어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휠체어와 가전제품의 연동 형태는 휠체어 이용 장애인을 위해 일부 스마트 홈 기술은 휠체어에 장착된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휠체어의 조이스틱, 스위치 또는 타입의 보조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한다. 환경 제어 유닛 (ECU, Environmental Control Unit))을 통해 휠체어 이용 장애인이 조명, 전자 도어, 텔레비전, 컴퓨터 등 주변 환경의 다양한 요소를 제어할 수 있게 해 준다.
ECU는 보통 휠체어에 직접 장착되며, 사용자는 휠체어의 기존 제어 장치를 통해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정이나 직장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돕는 시스템으로, ECU를 활용하면 라디오 주파수, 적외선, 블루투스 또는 WiFI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TV, 라디오, 컴퓨터, 오디오 시스템 등을 켜거나 끄거나, 채널이나 볼륨을 조절하고, 가정 내의 조명 제어, 도어, 창문, 커튼 제어, 가정 보안 시스템 제어 즉, 알람을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으며, 환기, 난방, 에어컨 제어할 수 있다.
ECU는 다양한 입력 방식을 지원하는데,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어되며, 다른 일부는 휠체어의 조이스틱, 스위치, 또는 음성 명령 등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입력 방식은 사용자의 특정 필요와 능력에 따라 맞춤화될 수 있다.
이 같은 기술들은 사용자의 특정 필요에 따라 맞춤화될 수 있으며, 가전제품을 통해 사용자의 생활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전자제품의 필요 기능에 대한 구현 및 호환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또한 시스템의 구현은 각 사용자의 개별적인 필요와 능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보조 기술 솔루션을 찾기 위해서는 전문가와 상의하는 과정이 필수적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