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장애학생 취업 해결책 ‘프로젝트 서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2015.10.02 조회5,423회 댓글0건본문
미국 도입 후 취업률 70% 향상, 직장유지비율 80%
전문가들, 도입 공감…국내 교육현장 적용 과제 ‘산적’
다른 장애유형보다 취업이 어려운 발달장애인. 이들의 취업문제 해결을 위한 뾰족한 해결책은 없을까?
에린 릴, 수잔 럿코우스키는 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새정치민주연합 유은혜 의원, 발달장애인법제정추진연대 등 8개 단체 주최로 열린 ‘미국 프로젝트 서치 프로그램의 이해 및 국내 활용 방안 모색을 위한 세미나’에서 프로젝트 서치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프로젝트 서치는 발달장애학생 취업지원을 위한 현장중심의 직업훈련 프로그램이다.
지난해 미국지적발달장애인협회(AAIDD)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의 도입으로 발달장애학생의 취업률이 70%까지 향상됐으며 직장을 유지하는 학생의 비율역시 80%가 넘는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트 서치에는 400개 정도의 직업훈련 프로그램이 있으며 학생들은 3가지 다른 직업훈련을 수행하게 된다.
직업훈련은 하루 4~5시간 1년에 1000시간 정도 진행되며 이 기간 동안 학생들은 직업을 위한 기술뿐 아니라 사회적 기술도 배우게 된다.
직업훈련을 받는 동안 학생들은 대중교통이나 다른 독립적인 교통수단을 이용해 학교가 아닌 사업체로 출근하게 된다.
학교로 등교하지 않는 학생들의 일상은 약 1시간 30분의 고용가능성 기술 교육과정 수업, 5시간의 직업훈련 등으로 꾸며진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서치에 참여하기 전 졸업에 요구되는 모든 수업을 마쳐야 하고 사업체에서는 기술을 배우는 데 초점을 맞추게 된다.
또한 직업담당교사는 장애학생이 직장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장애학생이 다니는 직장에 함께 생활하면서 필요한 것을 지원한다.
프로그램은 현재 특허 출연 중에 있으며 가입하는 학교나 단체는 일정 비용을 지불하고 컨설팅을 받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부분적으로 이 같은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나 전반적인 체계, 재원, 고용으로의 연계 등에서 미국과 차이가 나는 점이 있다.
토론자들은 프로그램 도입 필요성에 대해 공감을 나타내며, 국내 교육현장에서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김길태 국립특수교육원 교육연구사는 “프로젝트 서치는 발달장애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매우 의미 있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이라면서도 “우리나라의 교육적 상황과 환경에서 적용이 가능할지는 고민해봐야 할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발달장애 학생들이 특수교육법에 따른 교육과정을 모두 이수해야 하는 문제, 대기업과 공공기관 등 일하기 좋은 사업체를 발굴해 참여시키기 어려운 문제, 실습지에서의 안전의 문제, 취업보다는 전공과를 선호하는 부모들의 인식문제 등이 있다는 것.
김길태 연구사는 “현재 우리나라의 직업재활은 교육부, 복지부, 노동부가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체계를 가지고 발전해오고 있다”면서 “무엇보다 각 부처가 서로 협업하는 게 중요한 열쇠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전금자 한국지적발달장애인복지협회 영월군지부장은 “지역에 따라 특수학교는 전공과를 통해 체계적인 직업교육을 실시하고 통합학교를 대상으로 고등학교 과정에 특수교육 거점학교를 설치해 직업탐색을 돕고 있지만 개별적인 적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직업과의 연계가 이뤄지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영월만 봐도 학교에서 교사가 교육청 공모사업으로 고등학교 3학년 아이들에게 청소를 하는 직업교육을 시키고 있지만 졸업하고 나면 연계되는 곳이 없다”면서 “열의를 갖고 시작했더라도 공모사업이고, 5년이 되면 다른 곳으로 전근을 가게 돼 있어 유지도 어려운 실정”이라면서 프로그램의 적용에 대해 공감했다.
전금자 지부장은 “우리나라에서 프로젝트 서치와 같은 프로그램을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책마련을 통해 예산과 인력을 확보할 수 있는 노력과 지역기업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인식개선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전전환교육지원거점센터 임수진 교사는 “학교 내부 수업만을 담당할 인력만 배치돼 있는 현실에서 (프로젝트 서치처럼) 학생 개개인의 현장실습은 불가능할 수밖에 없다”면서 “현장중심의 직업교육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실습현장을 함께 나갈 교사와 직무지도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는 특수학교는 한 학교당 교사 1명, 직무지원 1~2명, 특수학급이라면 학생 100명당 교사1명, 직무지도원 1~2명을 거점역할 하는 지원센터에 배치된다면 최소한의 현장중심의 직업교육을 실혈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