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지적장애인 위한 연구 대책 ‘시급’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2010.12.22 조회5,473회 댓글0건본문
“30세이후 급격히 건강문제 의심 현상 나타나” “조기노화 온다는 것만 알 뿐, 원인 연구 전무” 에이블뉴스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 16일 '장애인거주시설 고령 지적장애인 서비스 방안을 위한 토론회'를 마련했다. ⓒ에이블뉴스
지적장애인의 고령화에 대비하기 위한 연구나 서비스 대책 등이 지속적으로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한림대학교 김재용(의과대학 사회의학교실) 교수는 국가인권위원회가 지난 16일 마련한 '장애인거주시설 고령 지적장애인 서비스 방안을 위한 토론회'에서 ‘장애인시설 고령 지적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연구자료’ 발표를 통해 “고령 지적장애인에 대한 관심을 가지며 그들의 현황을 제대로 살펴보는 일을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30대 중후반이나 40대의 지적장애인은 이미 급격한 노화현상을 경험하는 등 지적장애인의 조기노화와 연관된 건강문제들이 본격화되고 있다"며 "하지만 우리나라는 고령 지적장애인의 특성과 그들의 변화된 욕구에 관한 이해가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교수는 "지적장애인 114명을 대상으로 고령화와 관련된 건강문제를 조사한 결과, 지적장애인은 30세 이후부터 급격하게 고지혈증이나 당뇨병, 치아결손, 시력저하 등의 건강 문제가 의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공동 발표자인 성공회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강희설 연구위원은 "영국이나 일본의 경우 1980년대부터 지적장애인의 조기노화와 관련된 연구가 시작되고 고령지적장애인의 현황이 조사됐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 지적장애인을 사실상 방치하는 셈"이라며 "지적장애인은 조기노화가 온다는 것만 알 뿐 그 시점이나 어떻게 노화 현상이 나타나는지에 대한 근거 연구도 전무한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강 연구위원은 "고령 지적장애인은 장애와 노인이라는 이중차별을 경험하기 때문에 이중 위험에 처하게 된다"며 "지적장애인의 성인기 서비스 및 고령 지적장애인에게 특화된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강 연구위원은 "이를 위해 고령 지적장애인을 위한 심신 건강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며 "또한 고령 지적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지원이 될 수 있도록 가족 등에 대한 교육도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토론자로 나선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권영준(산업의학과) 교수는 "고령 지적장애인의 건강문제는 다른 일반 노인들과 마찬가지임에도 지적장애인에 대한 치료는 거부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며 "평소의 건강상태 확인과 조기 개입을 통해 병의 진행을 늦추기 위해선 지적장애인이 정해진 의료기관에서 정기적인 건강진단을 받아야 한다. 또한 이 자료들을 관리, 치료로 연계하는 제도 또한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국장애인개발원 이미정(정책연구실) 조사연구팀장은 "의료적 부분에만 국한시키는 게 아니라 의식주 등의 부분을 전체적으로 보는 것이 필요하다"며 "어떻게 지원하느냐가 아니라 지적장애인이 어떻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냐를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 팀장은 "성인 지적장애인의 선택 및 결정권과 지원자가 추구하는 지적장애인의 건강 유지 등의 안정권 사이에서의 기준은 어떻게 잡을 것인지도 생각해 볼 문제"라고 덧붙였다.
제나가족지원센터 김명실 소장은 "지적장애인의 고령화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정부차원에서의 전국을 포괄하는 현황조사가 실시돼야 한다"고 전했다.
정가영 기자 (tasha@ablenews.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